피자헛 파산?
대표적인 피자 브랜드인 피자헛 회생절차 신청 소식을 듣고 놀랐습니다.
얼마 전에도 배달의 민족에서 주문해서 맛있게 먹었었는데요.
현재 피자헛의 상황과 이런 사태에 다다른 원인이 무엇인지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1. 피자헛 한국의 현재 상황
한국피자헛은 가맹점주들과의 소송에서 패소하여 210억 원의 부당이득금을 반환해야 하는 상황에 있습니다.
그래서 채권액 강제집행을 막고 시간을 벌어 회사 운영을 지속하기 위해 2024년 11월 4일 서울회생법원에 기업회생절차 개시를 신청했습니다.
11월 5일 서울회생법원은 한국피자헛에 대해 보전처분 및 포괄적 금지명령을 내렸습니다.
이러한 조치는 채무자의 자산, 부채를 묶어두는 것인데, 회사의 자산 처분을 막고 채권자들의 강제집행, 개별적 채권 회수를 금지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한국피자헛은 회생절차와 함께 자율구조조정 지원(ARS) 프로그램을 신청했고, 법원은 11월 11일 ARS 프로그램 진행을 승인했습니다.
ARS 프로그램이란 회생절차 개시 결정을 미루고 회사가 자율적으로 채권자와 구조조정 협의를 할 수 있는 제도입니다.
이에 따라 한국피자헛 회생절차 개시 결정이 12월 11일까지 한 달간 보류되었습니다.
따라서 향후 한 달간의 ARS 기간 동안 채권자들과의 합의 여부에 따라 한국피자헛의 회생절차 진행 여부가 결정될 예정입니다.
피자헛 측은 이번 조치가 일시적인 운영상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한 것이며, 전국 피자헛 매장들은 정상 영업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2. 한국피자헛 경영 악화 이유
① 지속적인 매출 악화 및 영업손실
2020년부터 매출액이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2023년에는 869억원으로 줄었습니다.
2022년부터는 영업손실을 기록하기 시작하여 2023년에는 45억원의 적자를 기록했습니다.
② 가맹점주와의 소송 패소 문제
2016~2022년 가맹점주에게 받은 차액 가맹금 210억원을 부당이득금 반환해야 하는 판결을 받았고, 이는 회사에 큰 재정적 부담이 되었습니다.
소송의 내용은 피자헛이 가맹점 동의 없이 재료 가격에 차액을 붙여 납품해 부당 이득을 취했다는 것이었습니다.
③ 피자헛 가맹점 수 감소
2021년 325개였던 가맹점 수가 2023년에는 297개로 감소했습니다.
④ 식생활 및 경쟁시장의 변화
1인 가구 증가로 인한 소비 패턴 변화와 가격에 대한 소비자 부담 증가 및 가성비 피자를 내세우는 경쟁자들의 등장도 추가적인 요인입니다.
아무래도 저렴한 가격으로 홍보하는 배달 피자가게가 많다 보니 피자헛의 가격경쟁력이 떨어지게 되었습니다.
⑤ 재료비, 인건비 등 원가 상승
밀가루, 재료 가격의 상승과 인건비, 배달료 상승도 빼놓을 수 없는 원인입니다.
여러 가지 복합적인 요인들이 한국 피자헛의 경영 악화를 초래한 것으로 보이는데, 특히 가맹점주와의 소송 패소로 인한 거액의 배상금 부담이 이미 악화된 재무 상황에 결정적인 타격을 준 것으로 판단됩니다.